손흥민에게 2골 먹힌 K리그 선수들 “경기 후 라커룸에 몰려간 이유” 어떤 상황인지 확인해 보세요

경기 후 손흥민이 보여준 한국인들만 하는 특유의 행동에 영국의 유명 매체 BBC와 토트넘 현지 팬들이 충격에 빠졌습니다. 매체와 팬들은 영국 선수들은 절대 하지 않는 행동이라고 의아해하면서 자세히 보면 한국인들만 저런 행동을 하는 것 같은데 손흥민까지 저렇게 할 이유가 있나 싶다는 반응까지 나오는 것이 사실입니다.

일부 전문가들은 외국인들은 한국인 손흥민의 저 행동을 처음 봤기 때문에 전혀 이해할 수 없었을 것이라고 말하면서 손흥민이 한국인만 하는 몇몇 행동으론 그들에게 충격적일 것이라고 말해 영문을 모르는 많은 축구 팬들의 큰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어떤 상황인지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축구

영국 매체들의 큰 관심

팀 k리그와의 경기에서 보여준 손흥민의 몇몇 행동이 영국 현지 다수의 매체들과 토트넘 현지 팬들에게 큰 감동을 선사하고 있습니다. 영국 매체들은 저런 행동은 영국 선수들은 하지 않는 행동이라고 말하면서 한국인 특유의 문화적 특성 때문에 저런 행동을 하는 것 같은데 서양인들에게는 정말 충격적인 행동이자 전혀 예상하지 못하는 행동들이어서 더욱 감동적이라고 말했습니다. 영국 매체들이 주목하는 이 경기의 첫 번째 포인트는 바로 경기전 행사였는데요.

이 경기를 주최한 주최 측은 경기 중 심장마비로 쓰러져 현재 은퇴 후 재활 중인 신영록 선수와 음주운전자에게 교통사고를 당해 하반신이 마비된 유연수 골키퍼를 등장시켜 슛하고 공을 받는 행사를 기획해 현장을 찾은 6만여 관중의 기립박수를 받았습니다. 몇몇 축구 팬들은 단순한 친선전에 이런 기획을 하다니 토트넘 축구 경기를 생중계하는 영국인들과 아시아인들이 주목하는 상황에서 한국인들의 인류애를 느꼈을 것이라고 자부심을 드러냈습니다. 이날 특히 많은 주목을 받은 선수는 토트넘에 영입된 18세 윙어 양민혁의 활약이었습니다.

양민혁은 경기 전 인터뷰에서 “흥민이 형을 만났는데 아프지 말고 잘 관리하고 1월에 만나자고 하셨다고 말문을 열면서 몇몇 클럽들의 오퍼가 있었지만 흥민이 형이 주장으로 있는 토트넘을 선택하는데 나는 주저하지 않았다. 나의 우상은 흥민이 형이고 그와 함께 같은 팀에서 뛰며 축구를 할 수 있다는 것 자체가 아직도 믿기지 않는다.”고 흥분을 감추지 못했습니다.

토트넘 감독의 다음 시즌 전술을 보여준…

경기가 시작되자 팀 k리그는 일단 아래로 내려앉은 상태에서 토트넘에게 카운터를 먹일 생각으로 선수비 후역습의 전술을 구사했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손흥민은 클루셉스키의 선제골을 돕고 전반 38분경 단독으로 공을 몰고 들어가 손흥민 앞을 막아선 5명의 팀 k리그 수비벽을 뚫고 오른발 감아차기를 장렬시키며 두 번째 골을 만들어내는데요. 이 장면에 대해 일부 전문가들은 “손흥민이 중앙으로 침투를 하면서 오른발 감아차기를 하는데 케인이 있을 때는 그에게 패스를 했지만 이제는 손흥민이 저 위치에서 패스보다는 자신이 결정을 짓는 것이 과거와 달라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들은 이어 “원톱으로 나오는 클루셉스키는 케인하고는 좀 다른 유형의 플레이를 하는데 케인은 페널티 박스 안에서 거의 움직이지 않고 공을 달라고 서 있는 반면 클루셉스키는 손흥민의 동선 반대쪽으로 움직이거나 공을 받으려고 기민하게 움직여 손흥민이 슛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준다. 지난 시즌 오른쪽에서 슛난사를 하던 때와 역할이 바뀌었는데 이것은 다가오는 시즌에 손흥민을 포스테코글루가 어떻게 쓸 것인지를 극명하게 시사하고 있어 지난 시즌보다 더 많은 골을 손흥민이 기록할 것이라는 걸 합리적으로 추측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손흥민의 후계자 양민혁

손흥민의 두 번째 골은 전반이 거의 끝나갈 무렵에 터졌습니다. 손흥민은 클루셉스키와 원터치 패스를 주고받고 침투 노마크 상태에서 두 번째 골을 기록합니다. 손흥민은 이날 토트넘이 기록한 전반전세 골에 모두 관여해 이 경기를 지켜본 많은 팬들을 아낌없는 박수를 받았는데요. 팀 k리그에서는 좌측 윙어로 나온 양민혁이 자신을 영입한 포스트에코글루 감독 앞에서 멋진 경기를 펼쳐 보여 많은 팬들의 박수 갈채를 받았습니다.

이날 경기에서 양민혁은 에메르송이 자신이 턴을 하지 못하도록 뒤에서 압박을 시작하자 한 번의 터치로 에메르송을 제끼는 모습을 선보여 이날 경기장을 찾은 6만여 관중의 탄성을 자아내게 만들었는데요. 영국의 BBC는 이 장면을 하이라이트로 내보내면서 18세 윙어 양민혁을 토트넘이 왜 손흥민의 후계자로 낙점하고 영입했는지 알 수 있는 장면이라고 말하면서 명색이 그래도 1군이라는 에메르송이 18세 한국인 선수에게 제껴지는 모습을 보며 포스테코글루는 격노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후반전 들어 토트넘은 세 골을 얻어맞고 역전이 될 위기에 놓이기도 했는데요.

포스테코글루는 토트넘 선수들의 쿨링 브레이크 동안 선수들에게 작전을 지시하는 장면이 팬들 직캠에 포착되면서 그 뒷배경에 많은 언론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포스테코글루가 경기장에서 소리치는 것을 직접 들은 한 팬은 포스테코글루는 경기장에서 선수들에게 1대 1 맨투맨으로 압박을 하라고 소리쳤다고 개인 SNS에 글을 올리면서 포스테코글르가 그렇게 화를 내는 모습은 처음 봤다고 말했습니다.



경기는 4대 3으로 토트넘이 이겼고 경기가 끝난 후 토트넘 선수단은 18세 윙어 양민혁에게 우르르 몰려가 큰 관심을 드러냈는데요. 특히 제임스 메디슨은 양민혁에게 다정하게 다가가 대화를 나누는 모습이 포착되면서 많은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켰습니다. 양민혁은 루카스 베리발과도 유니폼을 교환했는데요.

양민혁은 경기 후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많이 긴장해서 사실 제대로 실력을 발휘하지는 못했다. 확실히 토트넘 선수들은 차원이 달랐다. 특히 흥민이형이 기록한 2개의 골을 보며 나는 멀어도 한참 멀었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혀를 내둘렀습니다. 양민혁은 “흥민이 형이 연습을 많이 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 그리고 양발로 슈팅하는 연습을 정말 많이 해야 한다고 하셨다. 공격수는 골을 넣어야 좋은 평가를 받기 때문에 그런 말씀을 하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영국 BBC의 특이한 논평

손흥민은 이날 경기 후 팀 k리그 라커룸에 찾아가 자신이 준비한 유니폼과 팀 k리그 선수들의 유니폼을 교환하고 기념촬영을 일일이 해 이 장면을 본 많은 축구 팬들을 흐뭇하게 했는데요. 영국 BBC는 손흥민의 이런 행동에 대해 특이한 논평을 내놓아 영국 현지 팬들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이 매체는 손흥민은 대한민국 대표팀의 주장이자 토트넘의 주장인데 팀 k리그에서 경기한 선수들 중 상당수는 대표팀에서 함께 경기를 한 선수들이라고 말하면서 손흥민은 일부러 팀 k리그 라커룸에 가 12 선수들과 기념촬영을 하는데 이런 행동은 영국 선수들은 전혀 하지 않는 행동이라고 말했습니다.

“손흥민은 고국인 한국에서 한국 선수들과 경기를 한 것이 너무나 자랑스러운 듯 했다. 일부러 그는 상대 라커룸에 왔고 심지어 외국인 선수들과도 일일이 악수를 하며 유니폼을 교환했다. 외국인 선수들은 손흥민과 함께 기념촬영을 하면서 손흥민에 대한 존경의 표시를 하며 정말 고마워하는 모습이 역력했다. 손흥민은 한국의 어린 선수들과 자신보다 나이가 많은 선수들에게 찾아가 먼저 인사를 하는 문화는 한국인들 특유의 공동체 의식에서 나오는 행동이다. 경기 식전 행사와 경기 후 손흥민의 이런 행동들에게 한국인들의 성숙된 문화를 읽을 수 있다.”고 극찬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손흥민은 경기 후 토트넘 tv와의 인터뷰에서도 “한국 대표팀으로 뛰면서 이 경기장에서 골을 넣었지만 토트넘 유니폼을 입고 한국 팬들 앞에서 경기를 뛰는 것은 나에게 너무나 색다른 경험을 준다. 난 단 한 번도 팬들의 사랑을 당연하다고 생각한 적이 없다. 이런 엄청난 사랑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은 나에게 엄청난 행운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한국인으로 태어나 한국 대표팀의 주장을 맡고 있다는 것이 정말 자랑스럽고 영광이다. 팬들에게 절대 실망감을 드리지 않기 위해 나는 한국인이라는 자부심을 가지고 세계 최고의 리그에서 최선을 다할 것이다. 저를 늘 응원해 주셔서 정말 감사하다.”고 말했습니다.

관련 영상

유튜브 영상 바로가기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