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기별 산업혁명으로 살펴본 사회 변화

시기별 산업혁명 정리

혁명(Revolution)의 사전적 정의는 이전의 관습이나 제도, 방식 따위를 단번에 깨뜨리고 질적으로 새로운 것을 급격하게 세우는 일을 말한다. 이러한 혁명의 수식어로 다양한 의미가 합쳐질 수 있는데 이를 산업과 연관을 지으면 산업혁명(Industrial Revolution)이란 18세기 중엽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혁신에 따른 사회ㆍ경제적 구조의 변혁을 의미한다.

산업혁명을 학문상으로 최초로 언급한 학자는 일반적으로 영국의 경제학자 아놀드 토인비로 보고 있으며, 그의 저서인 「Lectures on the industrial revolution of the eighteenth century in England」에서 등장하게 된다. 18세기의 영국이 농업사회에서 기계에 의해 산업사회로 변화되면서 사회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설명한다. 이전의 봉건적 관습과는 다른 도시 자본가-노동자 계급이 등장하게 된 것이다. 이는 기술적 변혁이 사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중요한 이론적 배경을 제공한 것이다.

토인비의 산업혁명 개념 이후, 시간이 흐르면서 산업혁명과 관련한 사회발전단계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나왔다. 우선, 앨빈 토플러는 사회발전 단계를 농업시대, 산업시대, 정보시대의 3단계로 보고 세계는 삼분화되었다고 말한다. 농업사회는 토지를 기반으로 농산물과 광물자원을 사회에 공급하는 농업혁명을 말하며, 거의 모든 문명의 기초가 여기서 시작되었음을 말한다.

산업사회는 값싼 노동력을 통해 대량생산을 실현한 사회를 말하며, 기계의 공장화 이후 서구 사회에 나타난 시대를 의미하는데 이를 곧 산업혁명이라 부른다. 정보사회는 인간의 두뇌를 이용하여 지식을 창출하고 활용하는 새로운 방식의 사회인데 주로 획일화된 상품생산이 아닌 고객의 요구를 실시간 반영하여 다양한 품종의 서비스 산업이 발전한 사회를 말한다. 지금 현재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인 것이다.

또 다른 미래학자 중 한 명인 제러미 리프킨은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에너지 체계의 변화가 산업혁명을 촉발시킨다고 본다. 19세기에 영향을 미친 증기기술은 인쇄물이라는 매개체와 결합하여 대량의 신문과 잡지, 책의 형태를 만들어 냈고, 역사상 처음으로 대중의 읽기 및 쓰기 능력을 장려하게 된다. 이를 1차 산업혁명이라 보고 있다. 2차 산업혁명은 20세기에 발생하였으며 전기 커뮤니케이션과 석유 동력의 내연기관이 조우해 일어났다고 보고 있다.

공장의 전기화는 대량생산 제품의 시대를 열었고, 수백만 명이 타던 말과 마차는 자동차로 바뀌었으며 급증하는 석유 연료 수요는 서구 주요 국가의 경제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3차 산업혁명은 21세기에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기술과 재생 가능한 에너지의 결합의 결과로 나타날 것으로 본다. 화석연료에 기반한 산업혁명의 경제적ㆍ사회적ㆍ정치적 생활 대부분을 특징지었던 상의하달식 사회구조는 물러가고 발전한 인터넷 기술과 대체 에너지 기술을 기초로 분산 및 협력관계가 주를 이루는 녹색 산업시대에 접어들 것으로 본다.

따라서 앞서 살펴본 세 명의 주요학자 견해를 종합해보면 인간사회는 시기별로 발전단계가 있으며, 그 시대의 주요한 산업기술이 곧 정치ㆍ경제ㆍ사회현상 변화의 촉발요인이라는 것을 알 수가 있다. 즉, 1차 산업혁명 시기는 18세기 중반에 등장한 증기기관에 의해 가내수공업이 공장 생산체제로 변화되었고, 이는 곧 전통적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넘어갈 수 있는 촉발요인이 되었다. 공장 생산체제는 곧 대량생산체제를 의미하며 20세기의 공장에 의한 대량생산체제가 가능하게끔 기술적 발판을 마련하게 된 것이다.

2차 산업혁명은 석유와 기계가 결합하여 전기동력을 만들어 냈고, 이는 곧 대량생산체제의 고도화를 이루어냈다. 대량생산체제의 고도화는 기계의 빠른 연산능력을 필요로 하였고, 이는 컴퓨터 기술의 발전을 통해 공장의 자동화를 이루어냈다. 또한, 동력의 발전은 인류의 이동에 있어 세계의 물리적 거리를 단축시켰고, 이러한 물리적 한계를 뛰어넘으려는 기술발전의 결과로 정보통신기술의 발전을 이루어 냈다. 산업혁명은 인간의 경제ㆍ사회ㆍ정치적 변화를 이끌어 냈듯이 마찬가지로 군사적 분야에서도 변화를 발생시켰다.

전우현. “4차 산업혁명시대의 한국군 발전방향.” 국내석사학위논문 대진대학교 통일대학원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