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성디자인의 정의와 표현방법

감성디자인의 정의와 표현방법

산업혁명 이후, 인간은 기술적, 기능적인 대량생산으로 대량의 제품들을 만들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해 인간의 삶은 편리해졌고, 윤택해 졌다. 하지만 산업혁명의 부작용으로 자연이 훼손되기 시작하였다. 평화롭던 마을에서 대규모 산업단지들이 생겨나면서 매일 밤낮으로 매연이 가득 찼다. 급격한 산업화에 의해 반대하는 사람이 생겨날 수밖에 없었다. 또한, 전부 평준화, 일률적이 되어버린 제품으로 인해 소비자들은 실증을 느끼고, 다양한 기호를 만족할 수 있는 개성적인 제품을 원하기 시작하였다. 그러면서 19세기 후반 영국에서 윌리엄 모리스(William Morris)를 중심으로 미술 공예 운동(Arts and Craft Movement)가 일어났다.

산업혁명 이전의 예술로 돌아가는 것을 의미하는 운동이다. 그는 자신의 집에서 수공직물, 직조, 가구 등을 생산함으로써 기계시대에 수공업을 부활하려고 하였다. 기계는 도덕관념의 예술을 생산할 수 없다는 것이 그의 생각이었다. 1919년 건축가 발터 그로피우스(Walter Gropius)가 미술학교와 공예학교를 병합하여 바우하우스(Bauhaus)를 설립한다. 이것은 독일의 조형학교이다. 그의 교육철학은 건축을 주축으로 하고 있지만. 회화, 조각, 공업디자인, 무대예술 등 다양한 시각 예술 분야에 영향을 미쳤다. 미술 공예 운동(Arts and Craft Movement)은 수공예의 부활을 주장했다면, 바우하우스(Bauhaus)는 기계에 의한 생산을 유지하면서 그 속에서 인간만이 만들 수 있는 예술을 생각하였다.

오스카 슐레머(Oskar Schlemmer)는 『바우하우스의 무대』에서 “우리들 시대의 징후는 추상이며, (중략) 또 우리들 시대의 징후는 기계화이며 이것은 생활과 예술의 전체 영역에 걸쳐 있으며 머무르지 않는 과정이다. 기계화가 가능한 모든 것은 기계화된다. 그 결과는 기계화가 불가능한 것의 인식이다.”라고 하였다. 그는 로봇을 통해 인간 무용수가 지닌 한계를 뛰어 넘는 조형적 아름다움을 만들 수 만들려고 한 것이다. 제품디자인에서 본다면 기계는 외형만을 만들지만, 그 제품의 추상적인 예술성은 결국 인간, 자신들이 만든다는것이다.

사람들은 언제나 천편일률적인 것을 원하는 것이 아니라 개성이 있고, 새로운 것을 원한다. 남들과 다 똑같은 물건들은 처음에는 편해 보일 수 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금방 실증과 회의감을 느낀다. 사람들은 물질적인 양보다는 질적 가치를 추구하는 제품을 원하면서, 인간 개개인의 정신적 탐구와 육체적인 탐구를 시작하였다. 그래서 인간공학이라는 소비자의 정신적, 육체적 탐구를 연구하는 분야도 생겨나게 되었다. 그 범주 속에서 감성공학이라는 분야가 나타나게 된다.

감성공학이라는 분야가 생겨나면서 사람들은 감성에 대한 관심이 더 커졌다. 인간공학, 감성공학을 연구하던 시기에서 감성에 대해 고민하던 시기는 지나가고, 최근에는 이것에서 더 나아가 감성 디자인 (affective design), 사용자 경험 디자인(User Experience Design),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User Interface Design) 등 더 세분화하여 발전하고 있다. 소비자의 감성은 물론이고, 소비자가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제품과의 상호작용을 디자인의 주요소로 고려하여 디자인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것은 주로 제품디자인에서 마케팅으로 많이 활용한다. 하지만 이 외에 공간디자인 등 많은 분야에서도 소비자와 객체의 상호작용을 고려하여 디자인을 한다. ‘감성(感性)’이란 사전적 의미로는 자극이나 자극의 변화를 느끼는 인간의 성질을 의미한다.

이것은 프로이트의 무의식실험에서 통해 밝혀진 인간의 인식 능력 중에 한 종류이다. 칸트철학에서 감성이란 “우리가 대상에 의해서 촉발되는 방식에 의해 표상을 받아들이는 능력(수용성)이 감성이라고 불린다.”라고 정의되어 있다. 감성은 감성작용과 인간의 기관에서 받아드리는 자극과 이 자극으로 생겨나는 반응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감성작용은 인간의 정서적 반응을 일으키는 심적 활동이다. 외부의 자극이 기관을 통해 뇌까지 전달되면서 그것이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요인과 섞이면서 반응을 하고, 감성을 생성시킨다. ‘감성디자인(affective design)’이란 소비자의 욕구가 다양해지고 개성화되면서 소비자의 라이프 스타일에 맞게 소비자가 느끼는 단순한 니즈(Needs)와 소비자의 원츠(Wants)까지 파악하여 구성하는 것을 말한다.

소비자의 원츠(Wants)란 감각의 다양성을 원하는 인간의 본능적인 욕구를 통해 인간은 언제나 새로운 환경, 새로운 것을 원하는 욕구를 의미한다. 소비자들은 환경을 통해 인식한 자극 혹은 정보를 개개인의 심리적 사상을 통해 공간을 이해하고, 그 속에서 각기의 새로운 느낌을 받는다. 그래서 감성디자인이라는 것은 유형의 개념이 아니라 무형의 개념이다. 소비자가 소수의 개념이 아닌, 다수의 개념이기 때문에 그 각각의 소비자에 따라 다른 감성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 감성디자인은 모두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감성디자인의 표현방법

감성은 하나의 요소에 의해서 생겨나는 것이 아닌, 여러 가지 요소의 복합적인 상호작용을 통해 생겨난다. 사람의 문화 수준, 나이, 성별, 생활방식, 경험등과 관련이 있으며, 개인적 요인, 사회적 요인, 문화적 요인에 따라 각각 다른 감성을 가진다. 이러한 요인에 따라 사람들은 자신만의 삶의 목표와 각기 다른 라이프 스타일을 가지며, 또한, 그것을 추구하려고 한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대부분 한정적인 공간속에서 규칙적인 생활을 한다. 겉으로 보여지는 공간의 형태는 다양한게 나타난다. 예를들어 집, 생산적인 활동을 하는 직장, 학교 등 의미는 같지만 형태가 다르게 나타난다.

하지만 사람들마다 전체적인 생활 패턴은 일률적인 형태를 보이고있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런 일률적인 생활 패턴에서 벗어나 지속적으로 새로운 자극, 경험, 기분 전환을 위한 공간 방문 등을 필요로 한다. 새로운 자극, 경험, 기분 전환을 요구하는 사람들에게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공간의 표현은 다양한 요소의 조합을 통해 새로운 디자인으로 창조를 해야 한다. 보편적인 색, 패턴, 재료 등의 요소를 이용해 자신만의 경험과 결합하여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야 한다.

새로운 조합을 만들기 위해서는 공간디자인의 6가지 요소를 기본으로 해야 한다. 공간디자인의 기본 요소는 ①균형 ②비례 ③대비 ④강조 ⑤통일 ⑥조화가 있다. 그리고 공간의 감성을 방문객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이 여섯 가지 요소들을 어떻게 ⑦조합할지를 생각해야 한다. 공간의 표현요소 6가지를 효과적으로 배합하여 하나의 공간으로 표현해야 방문객은 공간에서 오감을 통해 즐거움을 느낄 수 있다.

① 균형
사람들은 시각적으로 평행하는 표현에서 편안함을 느끼게 된다. 주로 이러한 평행적 표현은 균형에서 대칭적인 요소에서 많이 느낄 수 있다. 균형은 사람 들에게 편안함과 정적인 감정을 주고, 공간이 정리된 느낌을 줄 수 있다. 하지
만 지나친 균형은 오히려 사람들에게 거부감을 줄 수도 있다. 이러한 표현은 주로 미술관이나 박물관 같이 활동적이지 않고 정적인 장소에 주로 표현된다. 이와 반대로 균형을 이루지 않고, 한쪽과 다른 한쪽이 다르게 배치되어 있는 것을 비대칭이라고 한다. 비대칭은 중심 축을 기준으로 양쪽이 다르다 보니 불안함을 줄 수 있다. 하지만 비대칭은 불안함과 동시에 역동성을 느낄 수 있는 표현방법이다. 예를들어 좌우의 환경구성이 다르다보니 좌에서 우로, 혹은 우에서 좌로 환경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다고 느끼게 된다.

② 비례
인간은 휴먼 스케일을 기준으로 인식 하기 때문에 사람들이 거주하는 공간의 치수와 비슷한 공간에 가게 되면 익숙함과 편안함을 쉽게 느낀다. 그래서 우리 주변 대부분의 천장 높이, 문 사이즈, 창문 사이즈 등은 휴먼 스케일을 기준으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은 인간의 눈높이를 기준으로 공간을 인지하고, 그것을 기준으로 공간을 판단하고 느끼기 때문이다. 간혹 휴먼스케일을 벗어나는 표현에서 사람들은 즐거움을 느끼기도 한다. 크기가 커지고, 높이가 높아지게 되면 우선 시각적인 확장으로, 항상 똑같은 크
기의 공간과 다르기 때문에 새로움을 느낄 수 있다. 또한 그 속에서 경외감을 느끼기도 한다.

③ 대비
어긋난 느낌으로 호기심을 유발하기도 한다. 공간과 가구의 형태 및 배치의 차이 혹은 인테리어 혹은 익스테리어의 색상 차이 등으로 소비자들의 호기심을 자아 낼 수 있다. 또한, 마감재의 소재를 다르게 함으로써 사람들의 새로운 감성을 끌어내기도 한다. 공간의 내부 소재를 다르게 함으로써 방문객에게 즐거움을 줄 수 있지만, 이 즐거움은 장기적인 즐거움이 아닌 단기적인 즐거움이 될 수도 있다. 변화하는 소재로 인해 사람들은 공간속에서 피곤함을 느끼게 될 수도 있다. 대비가 많아지면 많아질수록 공간이 화려해지는 경향이 있다.

④ 강조
디자인에서 강조 요소를 바탕으로 강약조절이 필요하다. 마치 회화와 같이 공간 속에서도 내부의 구조가 가구의 배치에 따라시선의 흐름이 자연스럽게 이동하면서, 공간이 읽힐 수 있도록 해야 한다. 크기, 배치, 색상, 등 다양한 요소를 통해서 흐름을 만들 수 있다.

⑤ 통일
반복되는 디자인 요소는 하나의 통일성을 만들어내고, 동일한 소재와 형태를 이용한 반복은, 자연스럽게 시각적인 율동이 더해져 리듬이라는 요소를 만들어 낸다. 반복과 리듬을 통해 디자인은 흐름이 생길 수 있다.

⑥ 조화
공간을 구성하는 데 있어서 하나의 특정 요소만 부각되는 것이 아닌, 내부의 모든 공간이 조화롭게 연결되는 것을 말한다. 소재부터 장식적인 요소, 가구 등 모든 요소가 결국 하나의 목소리를 만들어야 한다. 그래야 공간이 하나의 공간으로 읽히고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만약 하나의 목소리를 내지 못한다면, 오히려 강조의 효과가 생길 수도 있다.

⑦ 조합
소비자에게 공간의 감성을 더욱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표현으로는 한계가 있다. 하나의 표현 방법으로 된 공간은 방문객이 쉽게 지루함을 느낄 수 있다. 전체의 분위기를 하나로 묶을 수 있는 주된 표현요소가 존재하고, 그 속에 부가적으로 다른 표현요소가 복합적으로 존재한다. 이처럼 카페 공간을 방문객이 원하는 감성으로 나타낼 수 있는 디자인 표현 요소로는 크게 균형, 비례, 대비, 강조, 통일성, 조화, 조합 총 일곱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여섯가지의 디자인 표현요소는 소비자의 방문목적에 따라 새로운 조합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조합에 따른 독특하고 개성있는 감성을 추가적으로 넣어야 카페 공간에서 소비자들에게 오감과 감성에 새로운 자극을 줄 수 있으며, 각각의 카페에서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채호진. “카페 공간에서 오감과 감성디자인에 관한 연구.” 국내석사학위논문 홍익대학교 대학원

You may also like...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You cannot copy content of this page